7월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었지만 장마로 인해 폭우와 폭염이 지속되는 날씨가 되어버렸는데요. 한여름에는 비가 온다고 해서 시원한 게 아니라 오히려 습해서 더 불쾌하기까지 합니다. 특히나 저는 재택근무를 하고 있어서 집에 있는 시간이 대부분인데요 에어컨을 하루 종일 틀면 전기세가 어느 정도 나오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오늘은 에어컨 하루 종일 틀면 나오는 전기세 계산 방법과 실제로 나온 전기세의 차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원룸기준으로 에어컨을 하루 종일 틀었을 때 나오는 전기요금은 6~7만원대라고 합니다. 30평대 주택을 기준으로 에어컨을 하루 종일 틀었을 때 나오는 전기요금은 대략 20만 원 대라고 합니다. 말씀드린 전기요금은 에어컨의 전력소모량과 에어컨이 종류와 연식, 주택 또는 아파트의 구조, 단열효율 등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대략적인 감만 잡으시길 바랍니다. 실제로 저는 원룸형 오피스텔에서 에어컨을 계속 켜고 생활을 해보니 4~5만 원 정도가 나왔고 정말 하루 종일 튼다면 위에 설명드린 금액이 나올 것 같습니다.
정확한 에어컨 요금을 계산하는 방법을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계산방법을 준비했습니다. 에어컨 전기요금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에어컨의 시간당 소비전력과 사용시간을 알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에어컨의 소비전력은 보통 에어컨 실내기에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찾아보시면 됩니다.
소비전력과 사용시간을 계산하셨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에어컨 전기요금 계산기 : 네이버 검색 (naver.com)
에어컨 전기요금 계산기 : 네이버 검색
'에어컨 전기요금 계산기'의 네이버 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우선 전기제품 사용량 계산을 해 주시면 됩니다. 에어컨으로 제품을 선택하시고 에어컨 실내기에 표기되어있던 소비전력을 입력합니다. 그 후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시간을 입력해 주시면 1개월 분의 전기 사용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다음 총 사용량 요금계산으로 넘어갑니다. 이 부분에서는 방금 계산한 사용량을 한 번 더 입력하게 됩니다. 이후 대략적인 예상 전기요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에어컨을 하루 종일 틀면 나오는 전기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루 종일 튼다는게 24시간 풀가동을 하는 건 아니니 하루 12시간~14시간 정도 튼다고 했을 때 거실에서 트는 스탠드형은 15만 원 방에서 트는 벽걸이형은 5만 원 정도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예상 전기요금을 참고하셔서 무더위를 시원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