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와이파이는 되는데 인터넷 연결 안될 때 (와이파이 연결 됐는데 인터넷 안됨)

카테고리 없음

by goonggme 2024. 12. 4. 23:07

본문

갑자기 컴퓨터에 인터넷 연결이 안 돼서 확인해 보면 와이파이는 잡혀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공유기 전원도 켜져 있고 와이파이 신호도 잡히는데 랜선으로 연결된 인터넷이 안 될 때 해결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와이파이는 되는데 인터넷 연결 안될 때

와이파이는 공유기라는 분배기를 통해 신호를 받아와 각각의 기기에 할당해주는데요 공유기를 통해 신호를 받아오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면 와이파이 신호는 잡혀있지만 실제로는 끊겨있을 수 있습니다.

 

와이파이는 되는데 인터넷 연결 안될 때1

 

1. 좌측 하단의 윈도우 시작 버튼을 눌러 검색에 "cmd"를 입력해줍니다. 혹은 실행 -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해줍니다.

 

와이파이는 되는데 인터넷 연결 안될 때2

 

2. 명령 프롬프트 창이 열리면 "ipconfig"를 입력하고 나온 결과값에서, 무선 lan 어댑터에 있는 기본 게이트웨이를 확인해 줍니다. 기본 게이트웨이 값을 그대로 인터넷 주소창에 적습니다.

 

와이파이는 되는데 인터넷 연결 안될 때3

 

그 후 변화 없이 미디어 연결 끊김이 뜬다면 공유기에 문제가 생겨 컴퓨터 혹은 핸드폰으로 인터넷 연결 안 됨 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미디어 연결 끊김이 뜨는 분들은 먼저 아래의 방법 중 4번째 방법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인터넷 연결 안 될 때 첫 번째 해결방법

 

와이파이는 되는데 인터넷 연결 안될 때4

 

1. 모뎀이 있다면 모뎀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 선이 빠져있지는 않은지 제일 먼저 체크합니다.

 

2. 공유기의 뒷면을 확인해 보면 선을 꽂는 곳이 여러 개가 있는데요. 하나는 전원선, 하나는 wan, 하나는 컴퓨터와 같은 기기에 연결하는 선입니다. WAN 혹은 LAN이라고 적혀있는 메인 구멍이 하나 있는데요. 이 구멍에 랜선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집 벽에서 끌어온 랜선 혹은 모뎀 뒷면에 있는 랜 포트에서 공유기의 WAN 포트에 꼽아줘야만 바르게 연결이 됩니다.

 

바르지 않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공유기에서 WAN 포트에 꼽혀있어도 모뎀의 랜 포트가 아닌 다른 곳 혹은 랜 포트는 정상이나 공유기의 다른 포트에 꽂힌 경우가 있습니다.

 

3. 이상이 있다면 바르게 연결하고, 이상이 없다면 전원선과 WAN포트의 랜선을 뽑은 후 약 10초 뒤에 다시 연결해 줍니다.

 

4. 위의 명령 프롬프트 방법에서 미디어 연결 끊김 현상이 일어난 분들은 공유기에서 PC 혹은 노트북으로 연결이 실패한 것인데요. 이 경우에는 컴퓨터와 공유기의 랜선이 잘못 연결되어 있으니 공유기와 컴퓨터 사이에 랜선 연결이 잘 되어있는지 체크합니다. 바르게 연결되어 있으면 공유기 앞쪽에 불빛이 들어옵니다.

 

미디어 연결 끊김이 뜨는 분들 중 계속 와이파이 연결은 되는데 인터넷 연결 안 됨 현상이 일어날 경우 랜선을 다른 포트에 연결해 보고도 안된다면 랜선 혹은 랜카드 자체의 불량일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와이파이 연결 안 될 때 해결 방법입니다.

 

와이파이는 되는데 인터넷 연결 안될 때5

 

 

1. 시작 윈도우 버튼에 오른쪽 마우스 클릭 후 네트워크 연결을 눌러줍니다. 혹은 제어판 - 네트워크 연결 보기도 가능합니다.

 

와이파이는 되는데 인터넷 연결 안될 때6

 

2. 고급 네트워크 설정에서 어댑터 옵션 변경을 눌러줍니다.

 

와이파이는 되는데 인터넷 연결 안될 때7

 

3. 연결되어 있는 WIFI 네트워크에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 후 속성으로 들어가 줍니다.

 

와이파이는 되는데 인터넷 연결 안될 때8

 

4. 프로토콜 버전 4에서 속성을 눌러줍니다.

 

와이파이는 되는데 인터넷 연결 안될 때9

 

5. 위와 같이 자동으로 IP주소 받기, 자동으로 DNS 서버 주소 받기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되어있지 않으면 위와 같이 설정한 뒤 확인을 눌러줍니다.

 

 

와이파이는 되는데 인터넷 연결 안될 때10

 

6. 오른쪽 마우스 버튼 클릭 후 사용 안 함으로 변경뒤 다시 사용으로 바꿔줍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 안된다면 공유기나 랜선 자체의 결함 가능성이 많으며 노트북이나 PC에서만 안된다면 드라이버나 랜카드의 결함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상으로 와이파이 연결은 되어있는데 인터넷은 안 되는 경우와 와이파이는 잘 되지만 노트북이나 PC에서 유선 인터넷은 안되는 경우에 해결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노란색 느낌표가 뜨면서 안되는 경우도 있지만 신호는 잡혀도 끊김이 계속되거나 불안정한 경우 위와 같은 방법으로 대부분 해결이 가능하니 천천히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