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입대를 하게 되면 전역을 하고 8년간 예비군 훈련에 참가해야 하고 그 다음은 민방위 의무도 마쳐야 합니다. 연차에 따라 집합과 사이버 교육으로 나뉘는데 민방위 편입 후 만기는 만 40세까지이며 전시상황이라면 45세까지 연장이 됩니다. 따라서 군대를 일찍 다녀왔다면 민방위 기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예비군에서 민방위로 편입된 후 1~2년차는 현장 소집교육 4시간을 받아아 하며 3~4년차는 사이버교육 2시간, 5년차 이상은 사이버교육 1시간을 의무로 받아야 합니다. 연차마다 교육 종류 및 시간이 다르므로 본인의 연차가 궁금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민방위 교육 사이트에서 본인의 민방위 교육 일정 및 연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민방위교육
민방위 사이버교육, 민방위교육, 전국 지자체별 스마트민방위교육, 사이버민방위, 스마트민방위, 민방위 인터넷교육, 민방위 온라인교육, 민방위훈련 사이버교육, 민방위홈페이지, 민방위 5년
www.cdec.kr
본인의 거주지를 시/군/구 단위로 선택하도록 합니다.
본인 이름과 생년월일 입력 후 안내하는 절차를 따라가게 되면 본인의 민방위 일정 및 연차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등 번거롭다면 민방위 담당자에게 유선상으로 여쭤볼 수 있습니다. 관할 담당자를 찾으려면 국민재난안전포털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며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소재지를 입력해야 합니다.
민방위 연차 조회를 하기 위해 상단 '민방위' - '담당부서 연락처'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럼 민방위 담당부서 연락처를 찾을 수 있는데 주민등록상 거주하고 있는 소재지를 읍/면/동까지 기재하면 주민센터 마을행정팀 연락처를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민방위 연차 의뢰를 할 수 있습니다.
위 2가지 사이트에서 민방위 연차 확인이 가능하지만 편하게 본인이 직접 연차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연차를 알아내는 방법은 매우 쉬우며 본인의 군 제대연도만 알면 됩니다.
민방위 연차 계산 = 올해연도 - 제대연도 - 8 |
민방위 연차 계산은 올해연도에서 제대연도와 8을 뺀 숫자입니다. 그렇다면 8이란 숫자는 무슨 의미일까요? 8이란 숫자는 예비군 8년차를 뜻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를 들겠습니다. 2012년도에 제대한 사람의 민방위 연차는 어떻게 될까요?
2023 (올해연도) - 2012 (제대연도) - 8 = 민방위 3연차 |
위와 같이 아주 간단하게 민방위 연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제대연도만 확실히 알면 오차 없는 민방위 연차 확인이 가능하며 만약 플러스가 아닌 마이너스 숫자가 나온다면 민방위가 아닌 현재 예비군이라는 의미입니다.
이상으로 민방위 연차 확인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군생활 하시느라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 단결!
2024.07.25 - [분류 전체보기] - 군대 주특기 확인 방법(군 생활 본인 병과 확인)
군대 주특기 확인 방법(군 생활 본인 병과 확인)
군대를 전역한 후 자격증이나 취업 등에 군 경력을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대표적인 서류가 병적증명서입니다. 병적증명서엔 군대 주특기 코드가 있어서 본인의 군대 특기(병과)를 알아야 할 때
goonggme.tistory.com